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기 쉬운 서양 미술사 시리즈 - ⑦ 르네상스시대 (매너리즘편)

728x90

안녕하세요 노마드 영 입니다.

이번편은 르네상스 시대의 매너리즘주의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할께요!

 

먼저 매너리즘 이라는 말은 "양식 "과 "기술"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MANIERA 에서 온 말로,

바사리는 이를 '자연을 능가하는 고급 예술 기법 "이라고 정의를 내렸어요.

그러나 17세기에 들어 갔을 무렵 부터 만들어지는 예술은 독창성을 잃고 전성기 르네상스 시대의 거장 들의

모방작에 불과하다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게 됩니다.

그 후 21세기에 들어서 이전 시대와의 대비 평가가 분리되어 전성기 르네상스의 특징인

자연스러움과 자연 이탈의 조화가 무너지고 자연을 초월한 세련된 예술적 기교, 관념성이 존재하는 작품이 등장한

전성기 르네상스 이후의 예술적인 동향을 가리키는 시대 양식 이름 으로 사용 하게 되었습니다.

먼저 매너리즘의 이름이 관련된 것은 르네상스의 고전 조화에 의식적 반역으로 해석 된 자코포 다 폰토르모와

로소 피오렌티노의 작품 이었습니다.

그러나 미켈란젤로의 후반기 작품을 매너리즘에 포함하는 견해와 브론 치노 , 벤베누토 첼리니 ,장 볼로냐 같은

사회에서 즐기면서 지내는 예술가를 가리켜 매너리즘이라고 호칭하는 해석도 그 범위와 정의는 오늘날 또한 유동적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16세기는 전성기 르네상스 양식과 매너리즘 미술이 혼합 된 혼란의 시대 였지만, 알프스 이북의 국가에서는 비교적 일찍부터 매너리즘 미술이 수용 되어 퐁텐블로파의 작품이 여러 남아 있습니다.

베니스에서는  전성기 르네상스가 다른 지역보다 오랫동안 지속되지만,

16세기 후반 들어 틴토레토가 등장하고 그 화풍에 매너리즘의 특징을 간파 할 수 있게 됩니다.

그 후, 틴토레토의 영향을 받은 크레타 출신의 엘그레코가 로마에서 미켈란젤로의 예술에 감화되어,

스페인의 톨레도에서 매너리즘적 특징과 베네치아 회화적 필치를 융합시킨 종교화를 만들게 됩니다.

한편, 파르마는 만테냐의 시도를 발전시킨 감각적인 매력이 넘치는 작품을 제작하고,

그 속에서 도입 된 명암 대비의 강조와 천정화의 역동적인 상승 표현 등은 후세 바로크 미술의 도래를 예고하고있는 것 같은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었던듯 합니다.

기타, 전성기 르네상스와 바로크 미술의 가교적인 존재가 된 화가로는 파올로 베로네세가 있습니다.

베로나가 제작한 '레비 작가 축제' 는 당초 '최후의 만찬' 라는 제목 으로 있었지만,

주제와 무관한 인물을 다수 그려 넣은 것으로 이단 심의에 걸려

"아름다운 그림을 만드는 화가의 자유" 라는 제목 으로 변경을 강요 받은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건축 분야에서는 '건축 사서' 를 저술 한 안드레아 팔라디오의 이름을 들 수 있습니다.

팔라디오가 설계한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는 고전주의 건축의 규범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19세기에 이르기까지

국제적 영향력을 고수 했으며,16세기 후반에는 자코모 델라 포르타 의해 예수회의 어머니 교회 "일 제수 성당"이

지어진 외관 전면 디자인과 본당 아래의 명암 대비 등 구성 요소가 바로크 미술의 성당 건축의 원형이 되었다고 합니다.

 

극단적인 단축법이나 기발한 원근법 등 매너리즘의 독특한 기법이 이용되었던        틴토레토의 "최후의 만찬"

 

예수회의 어머니 교회로 건축 된  일 · 제수 성당

 

매너리즘 미술에 관한 포스팅 이였습니다.

다음 시리즈는 북방 르네상스 미술에 대해 살펴볼께요.

이전의 북방 미술에서 조금 더 르네상스시대의 미술로 짙어진 미술세계에 

다가가 보세요.

오늘 포스팅을 마칩니다.

다음 시리즈에 만나요!

 

 

 

nomad-young.tistory.com/16

 

알기 쉬운 서양 미술사 시리즈 - ⑥ 르네상스시대 (전성기편)

안녕하세요 노마드 영입니다. 날씨가 하루 종일 흐리고 비오기를 반복 하더니 내일은 영하권으로 떨어진다네요.ㅜ 이제 진짜 겨울 입니다. 날씨는 이렇게 춥습니다만, 우리의 서양 미술사 시리

nomad-young.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