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알기 쉬운 서양 미술사 시리즈 - ⑧ 르네상스시대 (북방르네상스미술편)

728x90

안녕하세요. 노마드 영입니다.

오늘은 북방 르네상스 미술에 관해 포스팅 하고자 하는데요.

시리즈중 북방 미술에 관해 포스팅을 하였는데 

그 보다 조금 더 깊이 들어가보는 것으로 생각 해주시면 될것 같아요.

그럼 시작 합니다!

 

 

독일의 뒤러는 15세기 말부터 16세기 초에 걸쳐 두번의 이탈리아 여행을 통해 르네상스 미술의 양식과 이념을 습득하고 인체 표현, 공간 표현에서 이상적인 기법 양식을 독일어 회화에 이입하려고 시도 한 작가였습니다.

이 성과는 목판화 분야에서 독일의 전통적인 표출과 이탈리아의 기념비성을 융합시켜 제작 된 '묵시록 연작'에서 구현되었으며 , 동판화 분야에서는 인그레이빙 기법을 통해 "우울병 I '과 '아담과 에바"라는 인본주의적인 내용의 작품과

이상적인 벌거숭이을 가진 작품을 제작 하고 르네상스의 모국 이탈리아에도 큰 영향 주었습니다.

또한 유화는 "4명의 사도 '가 대표적인 작품 으로 알려져 있으며,

기타 "인체 균형 론 '등의 저술에도 주력하고 이는 후세의 예술가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선묘 주체 였던 뒤러와는 대조적으로, 색채 표현에 능했던 마티아스 그뤼네발트는 "이젠하임 제단화 '등을 제작하고

고딕 말기 미술의 환상을 계승 하였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뉴브 풍경은 서양 미술 사상 처음으로 구체적인 실경을 인간 존재 빼고 그린 획기적인 작품으로

대서 특필 되었죠.

 

알브레히트 뒤러의 동판화  " 우울병 I "

 

1517년은 마틴 루터에 의해 종교개혁의 기운이 높아지면서 예술 활동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종교 미술을 부정적으로 보는 계기가 됩니다.

종교 화가로 활동하고 있던 사람들은 점차 초상화와 궁정 화가로 전향 해 갔으며,

프랑스에서는 1494년 이탈리아 원정에서 르네상스 미술에 닿은 샤를 8세에 의해 많은 건축가들이 초청되어

왕실 주도하에 건축을 중심으로 한 프랑스 르네상스가 꽃을 피게 되지요.

프랑수아 1세의 시대에 루아르 강 유역의 대저택 보수 작업이 실시되고,

이때에 고딕 건축의 전통과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특색이 융합된 건축물이 다수 등장 하였습니다.

또한 1520년대 말에는 퐁텐 블로 성 관의 개조가 시작되고 로소 피오렌티노 , 프란체스코 프리마 덤프 티오 들을 초청해 내부 장식을 담당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탄생한 이탈리아 매너리즘을 구현한 로쏘들의 작품은 퐁텐 블로 파라는 궁정 미술 양식을 만들어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기타 독일 홀바인에 공통되는 정밀한 작풍을 확립시킨 장 쿠루에, 프랑수아 쿠루에 부자와 체리니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프랑스 고유의 르네상스 조각을 탄생시킨장 구존 등이 있습니다.

 

퐁텐 블로 성 관의 프랑수아 1 세의 갤러리

 

한편, 저지대 국가의 회화 미술은 15세기 단계 에서 성숙하고 유화 기법과 그래픽 표현에서 이탈리아에 영향을주는 쪽 이었지만, 전성기 르네상스를 맞이하고 난 이후에는 입장이 역전, 이탈리아의 미술 이나 고전 고대 미술을 모범으로 바라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16세기에 활동한 쿠엔틴 마사이스의 화풍은 레오나르도의 스푸마토 영향을 간파하였으며,

또한 베르나르트 팬오르레이는 수학적 원근법, 단축 법, 복잡한 운동 표현을 저지대 국가 미술에 도입 한

화가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었습니다.

이러한 15세기 저지대 국가의 정밀한 양식에서 탈피하고 르네상스의 화려한 양식으로 추구하는 자들을

대체로 "로마니스토"라고 불렸으며 이러한 경향 자체가 16세기 저지대 국가 그림의 특징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합니다.

초상화에서는 안토니스 모르가 국제적인 활약을 했으며 동시에 저지대 북부 국가의 미술 활동의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하였습니다.

뒤러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정밀한 동판화를 제작 한 루카스 반 레이덴 등은 북부에서 활약 한 대표적인 미술가의 한 사람으로 1524년에 로마에서 위트레흐트에 돌아얀 반 스코렐의 영향에 의해 로마니스토 활동은 점점 북부에 스며들어 갔습니다. 16 세기 후반에는 개신교의 성상 파괴 운동 등에 의한 종교, 정치적 혼란이 예술 활동의 발전을 방해했지만,

16세기 말에 등장한 코르 반 하를렘 ,헨드리크 골트지우스 들의 활약에 의해, 프라하와 나란히 하를렘 국제 매너리즘의 중심지로 번성했습니다.

16세기 저지대 국가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풍속화, 풍경화, 정물화의 자립을 들수가 있습니다.

반 헤메센  피터 아르젠을 효시로 하는 경향은 16세기 요아킴 파티닐에 의해 크게 전진 합니다.

그 후, 대 피터르 브뤼헐의 해이 양식이 완성되어 후세에 큰 영향을 남겼으며 

"눈 속의 사냥꾼"은 그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 입니다.

 

대 피터르 브뤼헐의 눈속의 사냥꾼

 

 

이렇게 르네상스 시대에 대해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워낙 방대한 스케일의 정보를 요약해서 올리다보니 잘 전달은 될런지,,ㅠ

다음 순서는 드디어 근세로 넘어 갑니다.

근세로 들어선 만큼 조금 더 낯익은 내용들을 접하실 수 있을 거예요.

그럼 다음 시리즈에서 만나요!

 

 

nomad-young.tistory.com/17

 

알기 쉬운 서양 미술사 시리즈 - ⑦ 르네상스시대 (매너리즘편)

안녕하세요 노마드 영 입니다. 이번편은 르네상스 시대의 매너리즘주의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할께요! 먼저 매너리즘 이라는 말은 "양식 "과 "기술"을 의미하는 이탈리아어 MANIERA 에서 온 말로, 바

nomad-young.tistory.com

 

728x90